본문 바로가기

환경 주요뉴스

[황사] 알기 쉬운 황사 이야기

황사는 왜? 어디서 오나요?

 

"펄펄 눈이 옵니다. 하늘에서 눈이 옵니다. 하늘나라
선녀님들이 송이송이 하얀 솜을 자꾸자꾸 뿌려줍니다."


이 노래처럼 하늘에서 하얀 솜이 떨어지는 게 아니라 누런 흙 가루가 떨어

진다면 어떨까요?
그런데 실제로 이런 일이 자주 일어나고 있어요.
바로 '황사'랍니다. 어떻게 땅에 있어야 할 흙이 하늘에서 떨어지는 것일까요?

  
황사 현상이란 중국과 몽골에 있는 사막과 황토 지대의 작은 모래나 흙먼지가 봄에 우리나라 하늘까지 날아와 떨어지는 현상을 말해요. 그런데 누런 흙먼지라 해서 모두 황사라고 하지는 않아요. 국제적으로는 '아시아 먼지'라고 하지요. 


 

세계 각지의 사막에서도 이와 비슷한 현상들이 나타나고 있거든요. 황사는 중국 황하강 상류의 알라산 사막, 몽골과 중국 사이에 있는 건조 지대와 고비 사막, 중국 북서부의 타클라마칸 사막과 한반도에서 가까운 만주 지역 등에서 생긴 먼지를 가리켜요.

겨울내 얼어 있던 흙은 봄이 되어 녹으면서 잘 부서지는 작은 모래 먼지가 돼요. 이것이 강한 바람을 타고 '모래 폭풍'이 되어 하늘에 오르는 거지요. 모래 폭풍은 아주 심한 경우에 손바닥도 안 보일 정도라고 해요.

이렇게 하늘에 떠오른 흙먼지 가운데 굵은 것은 바로 땅으로 떨어지고, 작고 누런 먼지들은 하늘을 떠다니기도 하고, 편서풍을 타고 수천 킬로미터를 날아서 한반도와 일본, 멀리는 미국에까지 가요.

황사 현상이 일어나면 하늘이 온통 황갈색으로 변하고 안개가 낀
것처럼 뿌옇게 되어 멀리 볼 수 없으며, 자동차나 건물에 흙먼지가
쌓이기도 해요.
황사를 들이마신 사람들은 기관지에 병이 생기기도
해요. 
우리나라에서는 건조기인 봄철에 많이 볼 수 있지만, 요즘에는
겨울에도  자주  생긴답니다.

 
 

 옛날에도 황사가 있었나요?

 

황사는 요즘에 생겨난 현상일까요? 아니면 아주 오랜 옛날에도 있었을까요?

 

우리나라에서는 이미 신라, 백제, 고구려 때도 황사 현상이 있었어요.

《삼국사기》나 《증보 문헌비고》를 보면 황사 현상을 뜻하는 이야기가 나오거든요.


서기 174년 신라에서는 음력 1월에 "흙가루가 비처럼 떨어졌다."는 기록이 나와요.

또한 서기 379년 백제 근구수왕 때는 “ 흙가루가 비처럼 하루 종일 내렸다."
서기 644년 고구려에서는 음력 10월에 붉은 눈이 내렸다는 기록이 있어요.

 또한 고려시대에도 "눈비가 속리산에 내려 녹아서 물이 되었는데 그 색이 핏빛과 같았다. (서기 1186년, 명종 16년)"고 했는데, 황사 때문에 붉게 보인 것이에요.

또한 조선시대에도 '흙비'라 하여 황사 현상을 말한 부분이 나와요. "한양에 흙이 비처럼 내렸다. 전라도 전주와 남원에는 비가 내린 뒤에 연기 같은 안개가 사방에 꽉 끼었으며, 쓸면 먼지가 되고 흔들면 날아 흩어졌다. 25일까지 쾌청하지 못하였다.(서기 1550년, 조선 명종 5년 3월 22일)"는 기록이지요.

 나흘 동안이나 계속된 '쓸면 먼지가 되고 흔들면 날아 흩어지는 연기 같은 안개'는 황사를 뜻해요.
'흙비'라는 말은 조선시대까지 사용했는데, 일제 강점기부터 '황사'라는 말로 바뀌었어요.

사실, 황사 현상을 일으키는 먼지인 황토의 역사는 아주 오래되었어요.


황토는 신생대 제4기인 180만 년 전에 생겨났다고 해요. 모래와 진흙이 섞여 있는 황토는 중국, 중앙아시아, 아르헨티나, 미국의 대평원 에서 볼 수 있지요. 그러고 보니 황사의 나이도 황토만큼이나 많네요? 180만 살이나 되었다니……. 
 
왜 우리는 황사를 막아야 하나요? 


이렇게 멀리서 날아 오는 황사의 주성분은 무엇일까요?


황사는 모래 성분인 규소, 철, 칼륨 등의 산화물로 이루어져 있고,

크기는0.001~0.01밀리미터 정도 돼요. 그런데 요즘 중국에 공장 등이 급속히 늘어나면서 매연 또한 극심해졌어요.


우리에게 날아오는 황사에도 납, 카드뮴, 알루미늄, 구리 같은 중금속과 발암 물질이 섞여 있기 때문에 인체에 해로울 수 있대요.


황사 현상이 나타나면 먼지의 양이 급격히 늘어나 공기가 더러워져요.

또한 우리도 코와 입으로 먼지를 마시게 되므로 감기, 기관지염 같은 호흡기 질환, 눈병, 콧병에 걸리기 쉬워요. 또한 아주 정밀하고 예민한 기계를 사용하는 항공기, 자동차, 전자 장비 등에 이상을 일으킬 수 있고, 농작물과 식물의 기공을 막아 성장을 방해하기도 해요.

 

 

 

우리나라에서는 주로 3~4월에 관측되는데, 예전에는 1년에 3~6일 정도에 그쳤지만 2001년에는 서울에서만 27일이나 관측 되었으며, 2002년 봄에는 강한 황사가 지속된 시간이 40시간을 넘는 등 황사 현상이 더욱 심해지고 있어요.  
 


황사 때문에 가장 큰 고민을 안고 있는 나라는 중국이나 몽골이에요.

모래폭풍이나 강한 바람 때문에 황사 현상이 생기면, 무엇보다도 사막의 면적이 자꾸 늘어나게 돼요. 지표면의 흙이 바람에 쓸려가고, 비옥했던 토양이 메말라 버려 식물도 자랄 수 없게 되어요.

매년 황하강 중류에서만 20억 톤의 흙이 사라진다니 가슴 아픈 일이지요.

뿐만 아니라 중국 전체에 걸쳐 초원이 사라지고, 흙이 쓸려가고, 모래가 이동하면서 사막이 넓어져 이제는 중국 땅의 16퍼센트가 사막으로 바뀌었다고 해요.

  

사막화 현상은 어떻게 막을수 있나요? 


지구는 '물의 별'이라고 불려질 만큼 곳곳에 강과 바다가 많지요.
그런데 이 물의 별에도 물을 찾기 힘든 땅이 있어요. 바로 사막이지요.
사막 지대에서는 늘 물이 부족하므로 농작물을 가꿀 수 없어 식량이 부족해요.

그런데 사막은 시간이 갈수록 점점 더 넓어지고 있어요.
다시 말하면 삼림, 즉 숲이 줄어들고 있어요. 이것을 '사막화 현상'이라고 해요. 
 
 
숲이 사라지는 사막화 현상은 왜 일어날까요?


그것을 알려면 먼저 숲이 기후와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야 해요.

숲은 물을 저장해 주므로 식물이 잘 자랄 수 있고, 홍수로 산사태가 나지 않도록 막아 줘요.
또한 숲이 많으면 광합성 작용도 활발히 이루어져 맑고 깨끗한 산소를 만들어 내지요.

 
이 밖에도 동식물이 살아갈 수 있는 보금자리도 마련해 줘요. 그런데 이렇게 고마운 숲이 자꾸 사라져 가고 땅이 황폐해지면서 사막처럼 변해가고 있어요.

  
원래 사막이란 비가 내리는 양보다 증발해 날아가는 양이 더 많아 땅이 건조해진 곳을 가리켜요. 사막화는 이와는 조금 뜻이 다른데 아주 심한 가뭄 등 자연적인 원인 말고도 인간의 잘못이 합쳐져 일어나는 현상이에요.  
 

인간들은 농경지와 땔감을 얻기 위해 자꾸만
나무를 베고 숲을 없앴어요.
도시가 커지면서 숲이 있던 자리에 높은 건물이
들어섰어요. 실수로 산불을 내어 수많은 숲이 불에
타 없어졌어요.
농약이나 화학 물질을 너무 많이 뿌려서 땅이 황폐
해지고 숲이 사라졌어요.  

 

 

 이렇게 계속해서 숲이 파괴되면 어떤 일이 벌어질까요?


땅은 햇볕을 흡수하지 못하고 반사시키므로 온도가 낮아지고, 밤에는 더욱 차가워지게 돼요. 차가워진 땅 위에는 건조한 하강기류가 생기므로 갈수록 비가 오지 않아, 나중에는 식물이 자라날 수 없어요.  
 

또한 비가 조금만 와도 홍수나 산사태가 나기 쉽고, 동식물이 살 수 없어 생태계가 파괴된답니다. 게다가 산소가 점차 줄어들고 이산화탄소의 양이 늘어나면 지구 온난화 현상이 심해질 거예요.

지금이라도 이러한 일을 막으려면 산에 나무를 많이 심어야 해요. 동남아시아와 남아메리카, 아프리카 지역에서는 나무를 심는 속도보다 나무를 베는 속도가 빠를 만큼 숲이 파괴 되고 있어요. 산불을 예방하는 데도 힘써야 해요. 또한 흙이 오염되지 않도록 화학 비료를 덜 쓰고, 공장들도 각종 오염 물질을 줄여가야 해요.




지구의 하늘과 땅과 바다가 모두 건강해야 사람과 자연이 함께 건강해질 수 있음을 잊지 말아야겠어요.
오직 하나밖에 없는 우리 지구를 위해서 말이에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