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집증후군 선진 각국의 실태와 방지대책
유럽이나 미국의 주택 상당수는 환기시스템을 바닥에 설치하는 등 개인차원에서 건강을 생각하는 건축이 일반화 되고 있다. 우리 처럼 온돌방식의 주거 조건에서는 한계가 있다. 또 실내 장식내용물이 우리보다 적고 유해물질이 적은 실내용 페인트를 주로 사용하고 있다.
미국은 실내 공기오염을 막기 위해 정부, 주택업체, 시민단체와 대학 등이 함께 조사 및 개선활동에 나서고 있다. 노동부 안전보건국(Occupational and Health Administration : OSHA)은 작업장내 공기오염도에 대한 허용기준을 제정, 시행중이며 환경청은 실내환경권고기준을 설정해 사업장에서 이를 지키도록 하고 있다.
연방정부 환경국(EPA)은 최근 시공과 설계단계에서 실내 공기질을 개선할 수 있도록 건축법을 개정하고 만드는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이와함께 수요자들이 평소에 자발적으로 오염공기를 예방할 수 있도록 실내 공기질 점검표를 만들어 각 주 소재 환경부(EPA) 나 연방정부 홈페이지를 통해 배포하고 있다.
지난 2001년에 작성된 수요자용 기준 의 경우 점검과 관리가 필요한 항목이 127가지나 된다. 영국과 미국에서는 오염물질 배출원인 건자재에 대한 인증제도를 도입해 유해물질 배출량이 큰 자재의 사용을 억제하고 있다.
새집증후군을 일으키는 물질
새집 증후군을 일으키는 실내 유해 물질 종류와 증상은 다음과 같다.
1) 포름알데히드: 피부질환, 점막자극, 호흡기장애, 중추신경장애, 발암성, 정서적 불안감, 비염, 정신집중곤란, 기억력상실, 호흡기(눈, 코, 입)의 자극 및 만성 염증 유발. 대표적인 실내오염물질로 눈과 코의 자극부터 어지럼증, 피부질환, 동물실험에서 코암(비암)까지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포름알데히드를 물에 섞은 포르말린은 단열재나 합판·섬유·가구 등의 접착제로 건축자재에 널리 쓰이며, 방출수준이 절반으로 줄어드는 데 2~4년 걸릴 만큼 장기간에 걸쳐 유해물질을 내뿜는다.
2) 방부제, 염화메틸렌: 피부자극, 호흡기질환
3) 일산화탄소, 미세입자, 연소가스: 만성두통, 기관지염, 현기증, 피로감, 정신기능저하
4) 접착제, 방부제의 톨루엔등 유기화합물: 눈자극, 의욕저하, 두통, 현기증, 불면증, 천식. 바닥접착제·칩보드·페인트 등 건축마감재에서 주로 방출되며, 톨루엔은 피부·눈·목을 자극하며 두통과 현기증, 피로를 일으킨다.
5) 방부제의 붕산염: 눈자극, 생식기능저하
6) 곰팡이, 음식냄새: 호흡기 질환
일본의 경우 지난 96년 7월에 건설성, 후생성, 통산산업성, 관련단체 등으로 구성된 ‘건강주택연구회’를 조직, 실내공기질을 측정해 12가지 오염물질의 농도기준을 마련함으로써 오염도를 낮춰왔다. 부처별로는 건설성이 건축기준법에 지하시설에 대한 건축규제 및 환기규제 조항을 넣어 시행중이며 위생성은 ‘건축물에 있어서의 위생적환경의 확보에 관한 법률’을 제정해 놓고 있다.
또 노동성은 ‘지하상가 노동대책 요령’에서 지하상가의 작업환경 및 노동 조건에 대한 사항등을 지키도록 규정하고 있다. 일본은 VOCs의 일종인 톨루엔·자일렌과 HCHO를 유해 화학물질로, 목재보존재·방충제 등을 유해 화학약품으로 정해 관리하고 있으며 HCHO의 방출량 정도에 따라 바닥목재와 합판재의 등급을 구분하고 있다.
'새집증후군 탈출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건강에 도움을 주는 공기정화식물 (1) | 2008.12.09 |
---|---|
새집증후군(Sick House Syndrome) 의 주범은 누구인가? (0) | 2008.12.09 |
새 아파트 입주 전 준비사항 (1) | 2008.12.09 |
잦은 재치기와 눈충혈- 나도 혹시 빌딩증후군 ?? (0) | 2008.12.09 |
위험한 페인트 냄새제거 방법 (0) | 2008.12.09 |